트래블

1.35km 황금빛 물결 출렁..해운대 빛 축제, 눈부신 겨울밤 선사

 제11회 해운대 빛 축제가 '새로운 물결, 눈부신 파도'라는 주제로 12월 14일부터 내년 2월 2일까지 해운대해수욕장 일대를 화려하게 수놓는다. 

 

해운대구는 구남로, 해운대시장, 해운대 온천길,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을 빛으로 연결하여 총 1.35km에 달하는 구간을 환상적인 빛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구남로 입구에는 화이트 트리로 조성된 '눈빛 정원'이 방문객들을 맞이하며, 5분마다 눈이 내리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이어지는 '새로운 물결' 길은 230m에 걸쳐 스노우볼 조명으로 가득 채워져 낮에는 햇빛에 반짝이고 밤에는 조명으로 더욱 아름답게 빛낸다. 구남로 끝자락 12m 높이의 '스마트 트리'에서는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는 영상이 상영된다.

 

특히 해운대 이벤트 광장에는 가로 40m, 높이 8m의 초대형 '화이트 캐슬'이 설치되어 눈을 테마로 한 화려한 미디어파사드 쇼가 펼쳐친다.

 

올해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 밤 11시에는 1천 대의 드론이 밤하늘을 수놓는 장관과 함께 '2025 카운트다운' 행사가 진행되어 새해를 맞이하는 특별한 순간을 선물할 예정이다. 

 

더위는 참겠는데, 전기요금 못 참아! '50년 전 유물' 누진제, 이제는 보내줄 때?

 기록적인 폭염이 휩쓴 7월, 전국 곳곳에서 '전기요금 폭탄'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다. 30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지난달의 여파로 가계 전기요금 부담이 극심해지면서, 50년 전 만들어진 현행 전기요금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십만 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고지서' 인증 글이 잇따른다. 두 아이를 키우는 한 이용자는 에어컨 3대를 가동한 결과 1138kWh 사용에 36만7430원이 청구되었다며 "하루 1만2천 원으로 폭염을 이겨낸 셈"이라고 토로했다. 1인 가구 역시 457kWh 사용에 9만2440원 요금을 받아들며 "혼자 사는데 이 정도냐"는 하소연이 이어졌다.이러한 '요금 쇼크'는 단순히 에어컨 사용량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 7월은 전국 평균 기온 27.1도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뜨거웠고,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 모두 역대급을 기록하며 전력 사용을 부추겼다. 이로 인해 전력 수요는 85.033GW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 사실상 8월 수준에 육박했다.근본적인 문제는 1974년 오일쇼크 당시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도입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에 있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급증하는 구조는 전력 절약 유도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현대 가정의 필수 전력 사용을 '죄악'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여름철 누진 구간이 일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냉방 필수 시대에 실제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완화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016년 이후 가정용 전력 사용량이 20% 이상 증가했음에도 누진제 개편은 8년간 멈춰있다.에너지경제연구원 정연제 연구위원은 "주택용 전기요금에서 기본요금 비중이 지나치게 낮고, 전력량요금 비중이 과도하다"며 "형평성을 위해 누진배율을 축소하는 등 시대에 맞는 요금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변화와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전기요금 체계가 더 이상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국민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