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모아

저작권 침해 '누누티비', 결국 문 닫다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콘텐츠를 불법으로 스트리밍하던 '누누티비' 운영자가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되어 재판을 앞두고 있다. 

 

'누누티비' 운영자 A씨는 2021년 누누티비를 개설한 이후 해외에 서버를 두고 도메인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사망을 피해 불법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속해 왔다.

 

누누티비는 국내외 유료 OTT 플랫폼의 최신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며 큰 인기를 얻었지만, 저작권 침해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A씨는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VPN, 해외 신용카드,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를 이용하는 치밀함을 보였으며, 불법 웹툰 사이트 운영 및 개인정보 불법 수집 혐의도 받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범죄과학수사대는 지난달 A씨를 검거하고 누누티비를 비롯한 불법 사이트를 차단하는 한편, A씨 소유의 고급 차량 2대, 고급 시계, 비트코인 등 범죄 수익을 압수했다.

 

더위는 참겠는데, 전기요금 못 참아! '50년 전 유물' 누진제, 이제는 보내줄 때?

 기록적인 폭염이 휩쓴 7월, 전국 곳곳에서 '전기요금 폭탄'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다. 30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지난달의 여파로 가계 전기요금 부담이 극심해지면서, 50년 전 만들어진 현행 전기요금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십만 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고지서' 인증 글이 잇따른다. 두 아이를 키우는 한 이용자는 에어컨 3대를 가동한 결과 1138kWh 사용에 36만7430원이 청구되었다며 "하루 1만2천 원으로 폭염을 이겨낸 셈"이라고 토로했다. 1인 가구 역시 457kWh 사용에 9만2440원 요금을 받아들며 "혼자 사는데 이 정도냐"는 하소연이 이어졌다.이러한 '요금 쇼크'는 단순히 에어컨 사용량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 7월은 전국 평균 기온 27.1도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뜨거웠고,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 모두 역대급을 기록하며 전력 사용을 부추겼다. 이로 인해 전력 수요는 85.033GW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 사실상 8월 수준에 육박했다.근본적인 문제는 1974년 오일쇼크 당시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도입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에 있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급증하는 구조는 전력 절약 유도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현대 가정의 필수 전력 사용을 '죄악'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여름철 누진 구간이 일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냉방 필수 시대에 실제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완화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016년 이후 가정용 전력 사용량이 20% 이상 증가했음에도 누진제 개편은 8년간 멈춰있다.에너지경제연구원 정연제 연구위원은 "주택용 전기요금에서 기본요금 비중이 지나치게 낮고, 전력량요금 비중이 과도하다"며 "형평성을 위해 누진배율을 축소하는 등 시대에 맞는 요금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변화와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전기요금 체계가 더 이상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국민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