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환율·고물가·고용불안... 탄핵 이후 '퍼펙트 스톰' 오나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가결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칠 타격이 우려된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과거 두 차례 탄핵 당시에는 반도체 호황과 중국 특수 같은 우호적 경제 환경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통상환경 악화와 내수 침체 등 복합위기로 상황이 더 어렵다는 평가다. 

 

과거 탄핵 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확대됐지만 경제 전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반도체 투자 호황 덕분에 GDP 증가율은 오히려 상승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수출 증가세 둔화, 내수 침체, 고용 부진 등으로 경제 여건이 악화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도 1430원대로 급등해 통화정책 운용에 딜레마가 생겼다. 

 

한은은 여야정 협의를 통해 경제 시스템의 신뢰를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더위는 참겠는데, 전기요금 못 참아! '50년 전 유물' 누진제, 이제는 보내줄 때?

 기록적인 폭염이 휩쓴 7월, 전국 곳곳에서 '전기요금 폭탄'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다. 30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지난달의 여파로 가계 전기요금 부담이 극심해지면서, 50년 전 만들어진 현행 전기요금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십만 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고지서' 인증 글이 잇따른다. 두 아이를 키우는 한 이용자는 에어컨 3대를 가동한 결과 1138kWh 사용에 36만7430원이 청구되었다며 "하루 1만2천 원으로 폭염을 이겨낸 셈"이라고 토로했다. 1인 가구 역시 457kWh 사용에 9만2440원 요금을 받아들며 "혼자 사는데 이 정도냐"는 하소연이 이어졌다.이러한 '요금 쇼크'는 단순히 에어컨 사용량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 7월은 전국 평균 기온 27.1도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뜨거웠고,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 모두 역대급을 기록하며 전력 사용을 부추겼다. 이로 인해 전력 수요는 85.033GW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 사실상 8월 수준에 육박했다.근본적인 문제는 1974년 오일쇼크 당시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도입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에 있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급증하는 구조는 전력 절약 유도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현대 가정의 필수 전력 사용을 '죄악'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여름철 누진 구간이 일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냉방 필수 시대에 실제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완화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016년 이후 가정용 전력 사용량이 20% 이상 증가했음에도 누진제 개편은 8년간 멈춰있다.에너지경제연구원 정연제 연구위원은 "주택용 전기요금에서 기본요금 비중이 지나치게 낮고, 전력량요금 비중이 과도하다"며 "형평성을 위해 누진배율을 축소하는 등 시대에 맞는 요금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변화와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전기요금 체계가 더 이상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국민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